<p></p><br /><br />우리에게 익숙한 방역 활동 모습입니다. <br><br>차량 위에서 뿌리고 줄지어 서서 뿌리고, 군용 제독차까지 동원했죠. <br> <br>그런데 최근 세계보건기구가 "소독제를 실내·외 대량으로 뿌리는 것 금지해달라"고 권고하고 나섰는데요. <br> <br>소독제 분사, 위험하고 효과도 없다는 건데, 사실인지 따져보겠습니다. <br> <br>소독제로 사용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·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성분의 소독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데, 이 단백질을 소독제로 녹여 감염력을 떨어뜨리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전문가들은 이 차아염소산나트륨. 대량 사용에 대해서 경고합니다. <br> <br>[이덕환 /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 (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장)] <br>"락스의 주성분이고요 산화력이 굉장히 강한 물질입니다. 가습기 살균제처럼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물질입니다." <br> <br>특히 직접 분사할 경우 눈, 호흡기 등에 악영향 미칠 수 있는데요. <br> <br>더구나 분사 형식의 소독, 코로나19 방역에 큰 효과가 없다고 진단합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중앙방역대책본부장 (어제)] <br>"특히 실내가 아닌 실외는 소독 효과가 크지 않아 권장하고 있지 않습니다." <br> <br>도리어 소독제를 분사할 경우 바닥에 있던 바이러스가 퍼져, 에어로졸이 발생하고 바이러스를 흡입할 위험 있는데요. <br> <br>우리 방역당국도 지난 11일 '소독제 사용 지침을 배포'하고 지자체 방역 때 소독제 분사 자제를 권고했습니다. <br><br>그럼 학교나 사무실 가정에서 소독, 어떻게 할까요. '뿌리지 말고, 닦는다!' 이것만 기억하면 됩니다. <br> <br>팩트맨과 따라해보시죠. <br> <br>1. 가정용 락스 등을 용법에 따라 물에 희석한 다음 천에 적신 뒤, <br> <br>2. 접촉이 많은 손잡이 등을 닦고 10분 이상 놔뒀다가 <br> <br>3. 깨끗한 물로 적신 천으로 다시 닦으면 됩니다. <br> <br>다만 소독할 때, 반드시 환기해야 하고, 마스크· 장갑 착용도 잊지 말아아야 겠습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사안 팩트맨에 제보 부탁드립니다. <br><br>이상 팩트맨입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연출·편집:황진선 PD <br>구성: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: 한정민, 유건수 디자이너 <br> <br>[팩트맨 제보 방법] <br>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